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비주류 경제학
(r4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페미니즘 경제학 === [* (1) 홍태희, 여성주의 경제학의 대안적 연구 동향과 비전, 질서경제저널 18(4), 2015, pp.81-104, (2) [[https://www.google.co.kr/url?sa=t&rct=j&q=&esrc=s&source=web&cd=4&cad=rja&uact=8&ved=0ahUKEwiPhMz77ZDYAhWFFZQKHS50DpUQFgg4MAM&url=http%3A%2F%2Fwww.kaae.or.kr%2Fbbs%2Fdownload.php%3Ftbl%3Dpaper%26no%3D250&usg=AOvVaw1x80ckW9KWH-jp4sBtZXyW|페미니즘적 시각이 경제학에 미친 영향]] 참조] Coughlin(1993)은 “페미니즘적 사고가 다른 학문에 영향을 주기 시작한지 20년이 지나서야 마침내 경제학에 도달한 것 같다.”고 하였다. Nelson(1995)에 의하면 기존의 경제학 연구에 나타난 남성중심적 편향성은 경제모형, 분석방법, 연구대상, 경제학 교육의 내용과 방법 등 네 가지 분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 경제모형: 인간은 여성에게서 출산되어 양육과 보살핌을 받고 가족과 사회와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사회화되어 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 주류경제학은 '의존, 연결, 정서' 등의 영향에 대해 과소평가하고 있다. 페미니즘적 관점에서 좀 더 완전한 모형으로서 Nelson(1995)은 Akerlof and Yellen(1988)의 [[효율성 임금 이론]]을 언급하고 있다. 최근의 [[행동경제학]]적 연구들도 제한된 합리성 및 사회, 심리의 영향에 대해 주목하고 있다. 무한한 합리성을 가정하는 기존 주류경제학 경제모형보다는 사회적, 정서적 요인 등을 명시적으로 고려한 경제모형이 필요하다. 가령, [[임금격차]]에 대해 '교육과 직장에 관한 여성의 의사결정', '여성 자신의 노력과 의지' 등 비시장적인 요인에 대한 설명을 추가해야 한다. * 분석방법: Nelson(1995)은 질적 자료의 가치에 대해 주류경제학이 지나치게 과소평가하고 있다고 보았다. 특정 여성이 겪은 성차별의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가 큰 설득력을 지닐 수 있으며, 사람들에게 의사결정이나 행동에 대한 동기를 묻는 등 [[면접법]]을 이용한 [[설문조사]]자료가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정보를 갖고 있을 수 있다고 보았다. 그는 논리성, 과학성, 정확성에 대한 맹신은 극단적인 경직성에 의존하게 되는 길일 수 있으며 비인간적인 목적에 이용당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 연구대상: [[노동경제학]]에서는 자녀의 영양, 사회화, 가족이 제공하는 비공식적 교육, [[가사노동]], [[육아]], 노인 부양, 가족 간호, 가계생산 등에 대해서는 주목하지 않는다. 페미니즘 경제학자들 사이에서는 [[GDP]]에 가사노동을 포함시켜야 하는지에 대한 의견이 갈린다. 어떤 학자는 GDP를 계산할 때 가사노동의 가치를 고려하지 않는 것은 가사노동의 경제적 가치를 무시하는 행동으로 보고, 다른 학자는 가사노동을 GDP에 포함시키면 현재 [[가정부]]들의 낮은 임금수준에 대응하여 환산되므로 가사노동이 매우 형편없는 화폐가치를 지니는 것으로 고정될 우려가 있으며 여성을 전업 가사노동자 역할에 머무르게 하는 것을 촉진시킬 수 있다고 우려한다. * 경제학 교육의 내용과 방법: Ferber(1990, 1995)에 의하면 심리학, 사회학, 수학 등의 다른 학문영역에 비해 경제학에서 여성전공자(학사, 석사, 박사 포함)들의 수가 현저히 적은 것은 경제학 수업에서 다루는 주제와 접근방법이 대표적 경제주체가 남성임을 암묵적으로 가정하여 여성을 소외시키고, 특히 역할모델(role model)을 담당하는 여성교수의 수가 매우 적기 때문이다. 수학적 테크닉을 강조하는 것은 '추상적 분석에 강한 사람들'만 선택함으로써, '총괄적 분석에는 강하지만 그러한 재능이 경제학에서는 별로 쓸모가 없는 것으로 생각하는 많은 학생들'을 배제시키게 된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